사용법은 거창한게 아니라 여러 설치방법이나 폴더등이 있겠지만 걍 제가쓰는 방식으로
일률적인 방법을 기술하겠습니다...
이게시물의 swap 를 다운받습니다... 그리고 내장하드의 plugin 폴더를 만들거나 있으면 그안에다
swap.xex 파일을 넣고 내장하드 제일 위에 mulit.ini 파일을 넣습니다...
보통 대쉬런처 launch.ini 파일이 내장하드에 있을텐데 수정해서 넣어줍니다...
위처럼 추가나 수정을 해줍니다... 다른 플러그인을 쓰고 있다면 plugin1 = 이후에 내용을 plugin2 = 이후에
추가해 주시면 됩니다... 그럼 swap 설치는 끝난겁니다..
다음은 프리스타일을 쓰시는 분들을 위한 소소한 팁과 mulit.ini 에 게임 추가하는 방법입니다..(제가 사용하는)
마그나 카르타로 설명하겠습니다.. 보통은 games 폴더나 특정폴더 안에 썻을텐데 저같은 경우는 ps3 의 games 나
gamez 폴더때문에 xbox360 으로 씁니다 어짜피 프리스타일에서 경로 추가 방식이기 때문에 폴더이름에 제약이나
그런게 없습니다.. 그리고 xbox360 폴더안에 마그나카르타 게임폴더를 만들고 그안에 disc1 disc2 라는 폴더에 각각
풀어 넣었을겁니다.. 그러면 프리스타일에서 scan depth 값을 2로 주어야 리스트에 나오는데 2개씩 나왔죠 저는 그걸
이렇게 게임폴더안에 disc1 번을 풀어넣고 그안에 disc2 폴더를 만들어 disc2번을 폴어넣었습니다...
그리고 프리스타일에서 scan depth 값을 1을 주면 마그나 카르타 하나만 프리스타일에 나옵니다.. 참고로 iso2god 도
이런식으로 되리라 봅니다..
이제 mulit.ini 를 수정해야겠죠? 멀티디스크의 그룹? 즉 게임당 디스크위치정도를 잡아주는거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우선 마그나카르타의 이미지를 풀어줍니다.. 위 경로처럼 풀어주고 iso2god 을 실행시킵니다.iso2god 을 실행시켜서
Add ISO 를 클릭해서 Image Location 라인의 Browse 버튼을 눌러 마그나 카르타 1번장이든 2번 장이든 ISO 파일을
선택하여 줍니다..
불러오시면 여러 정보가 뜨는데 title id 를 복사해줍니다... 그리고 mulit.ini 를 불러옵니다..
위에처럼 각게임마다 공백을 넣어주고 [title id 즉 아까 복사해둔 title id 를 넣어줍니다..]
: 타이틀 이름 맘대로 써도 ; 이것이 있고 이것은 주석이라고 아무영향 없는 글입니다..
그리고 각 디스크 경로로서 disk1 = disc1 번 위치로 게임 폴더를 지정해주고
disk2 = disc2 번을 푼 폴더를 지정해줍니다.. 위의 사진의 제가 사용하는 mulit.ini 입니다.. 참고하세요
제가 말솜씨가 없어서 이해를 하셨는지 모르겠네요 쉽게 풀어쓴다고 했는데 즐거운 삼돌이 라이프 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