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www.fafan.kr
파판 >> XBOX게시판
  • 로그인
  • xeBuild GUI 이용 업데이트시 유의 사항?
    작성자 : Lord | 조회수 : 3021 (2012-04-15 오후 12:55:36)
    안녕하세요. 오랜만에 대쉬보드 업데이트를 하려고 준비중인데
    개인적으로 항상 bestpig 를 이용해서 업데이트만 했었는데 얘네들이 원래부터 엄청 게으른 놈들이 었지만
    그나마도 때려친건지 작년 12월 14699 이후로는 프로그램 업데이트가 안되어 있네요.
     
    그래서 검색을 해보니  multiBuild랑 xeBuild가 있는데 어짜피 multiBuild도 내부 구조가
    xeBuild CUI 기반으로 구동되는 프로그램이라 그냥 xeBuild로 진행을 하려 하는데
     
    게시판 검색을 해봐도 버젼이 틀려서 그런지 인터페이스도 틀리고 기종도 틀려서
    이렇게 생성하는게 맞는건지 혹은 이걸로 업데이트 하면 혹시나 벽돌되는게 아닌지 해서 확인차 질문 드립니다.
    개인적으로 이젠 버티다 버티다 점차적으로 XBLA 게임이 구동이 안되는 상황이 오고 있어서
    FEZ 라는 게임 돌려 볼려고 업데이트를 하려고 하는데
     
    이 게임 하나 돌려보려다 벽돌되면 그게 더 난감하기 때문에 질문을 드리구요.
     
    게시판 검색해도 특별히 도움이 될만한 글은 안보이기 때문에 업데이트를 준비중인 분들한테도 참고가 되었으면 하는 바램으로 질문을 드립니다.
     
    그리고 새벽에 검색을 해서 정확히 기억은 안나지만 SMC Hack 부분은 건드리지 말라고 하셨는데
    디폴트 값으로 두고 생성하면 에러메세지 나오면서 생성이 안됩니다. (Current/Retail SMC)
     
    그래서 Nomal SMC Hack 으로 하면 에러 없이 한방에 정상적으로 생성이 되구요.
    또 Misc option 에서 Dashlaunch 부분 빼고서 생성을 하라는 게시글을 읽었었는데 무조건 빼야 되는건지?
    아니면 그냥 안건드려도 되는건지 궁금합니다.
     
    기종이나 세팅 화면은 아래 내용이 있으니 참고해 주시구요.
     
    JTAG 로 업데이트 성공하신 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
     

    ==================================
     Swizzy's xeBuild GUI version 2.04
     Log Started: Sunday 2012-04-15 오후 12:30:33
    ==================================
     *** Some console information ***
    CB Version: 4558
    Serial number: 005765573407
    Console region: NTSC/Korea (0x01FC)
    DVDKey: C6A2FCF2A00CC0BE4D406F3213262C9E
    Console ID: 082B4FC651
    MFR-Date: 21-08-07
    OSIG String: HL-DT-STDVD-ROM GDR3120L0079
    FCRT.bin Required: False
    Using xell-reloaded for JTAG/SMC hack
    Copying Normal (Old) hack patched SMC... Done!
    Including dashlaunch... Done!
    Including custom dashlaunch settings (launch.ini)... Done!
    Copying nand to data directory, this may take a while... Done!
    Parameters sent to xeBuild:
    -noenter -t jtag -c zephyr -d data -f 14719 -b DD88AD0C9ED669E7B56794FB68563EFA -p 94ADFDCA6F3094C9E71C885615F63D86   output.bin
    Building nand using xeBuild (this may take a while):
    ---------------------------------------------------------------
         xeBuild v1.01.421
    ---------------------------------------------------------------
    building jtag image
    ---------------------------------------------------------------
    output.bin image built, info:
    ---------------------------------------------------------------
    Console  : Zephyr
    NAND size: 16MiB
    Build    : JTAG
    Xell     : power on console with console eject button
    CPU Key  : 94ADFDCA6F3094C9E71C885615F63D86
    1BL Key  : DD88AD0C9ED669E7B56794FB68563EFA
    DVD Key  : C6A2FCF2A00CC0BE4D406F3213262C9E
    CF LDV   : 3
    KV type  : type2 (hashed)
    ---------------------------------------------------------------
        xeBuild Finished. Have a nice day.
    ---------------------------------------------------------------

    Moving output to your destination directory... Done!
    Cleaning data and temporary directories... Done!

           ****** The app has now finished! ******
     






    글쓰기 | 수정 | 삭제 | 목록   

    Lv.4 Lord (2012-04-15 13:01:51)
    아, 참고로 13599 → 14719 로 업데이트 합니다.
    Lv.5 오늘도좋은날 (2012-04-15 14:21:41)
    일단 13599 낸드 파일을 불러오면...오른쪽 마더보드 인포메이션 부분에 추천 설정이 거의 다 있어요. 저는 오른쪽 정보부분 보면서 smc 그대로 따라했거든요...(참고로 저는 제퍼 aud_clamp에요) 그리고 cpu key 넣고 xellous로 바꾸고 낸드 생성해서 잘 쓰고 있습니다. 대쉬런쳐 부분은 빼도 되고 안빼도 되요.
    근데 마더보드 인포메이션 부분은 저랑 좀 많이 다르시네요....혹시 원본낸드만 넣으셨으면...현재 쓰고 있는 낸드 불러와서 정보한번 비교해보세요.^^
    Lv.4 Lord (2012-04-15 14:54:00)
    아, 답변 감사합니다.
    스크린샷은 원본 낸드로 불러낸 이미지입니다.
    패치된 낸드 이미지를 불러와서 확인해보니 확실히 정보가 다르긴 하네요.

    제가 사용중인 기종은 역시나 Nomal SMC 군요.
    근데 패치된 낸드보다 원본에 작업하는게 안전한거 맞겠죠?

    스크린샷 추가합니다.
    Lv.5 오늘도좋은날 (2012-04-15 16:03:11)
    음..저는 원본낸드보다 기본에 쓰던 낸드에서 그냥 업글하는 편입니다..
    큰 차이는 없더라구요...그리고 xebuild 2.04버전이던데...이게 대쉬런쳐 버전을 확실히 모르겠네요.
    2.01 기준 2.31버전이라 따로 2.32로 업글했습니다.^^
    Lv.4 Lord (2012-04-15 16:31:20)
    아, 기존 낸드에서 작업해도 되는건가 보군요.
    답변 감사합니다.



    도배방지 : 0

    글쓰기 | 수정 | 삭제 | 목록   

     

    <<15361537153815391540

    Copyright ⓒ FINALFANTASIA.COM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