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06-06 오전 8:33:24 Hit. 988
저도 회사에 일나오느라 집사람한테 달라고는 예기만 하고 나왔는데..
1.현충일에 쉬는 이유
애국선열과 국군장병들의 충절(忠節)을 추모하기 위해 국가가 정한 공휴일.
2.현충일의 뜻
현충일은 우리 선조님들의 국권회복을 위하여 피를 흘리며 국가를 지키기 위해 싸워 한송이 꽃이 되어 하늘나라로 가신 고귀한 분들의 정신을 위하여 희생한 전몰 호국 용사들의숭고한 애국·애족정신을 기리고 명복을 기원한다.
1956년 현충기념일이 있었고 1975년 현충일로 개정했고 1982년 공휴일이 되었다고 합니다.
6.25 전쟁 3년동안 한국군 40만명이 목숨을 잃었다고 합니다.
《 현충일, 조기(弔旗)는 이렇게 답니다 》
◇ 2009년 6월 6일(토) 07:00~18:00 ◇
☆ 깃봉에서 깃면의 너비(깃면의 세로길이)만큼 내려서 답니다. ☆ 심한 비․바람(악천후) 등으로 훼손될 우려가 있는 경우에는 국기를 게양하지 않습니다. ☆ 공공기관 등에서 24시간 게양하는 국기도 당일 07시부터 18시까지는 弔旗를 게양합니다.
․ 여러 개의 국기가 게양되어 있는 군집기(울타리기 포함) 및 국기와 함께 게양하고 있는 다른 기(새마을기, 기관기 등)도 조기로 게양하되, 차량이나 보행자의 통행에 지장을 줄 우려가 있는 경우에는 그대로 둠(조기로 게양하지 않음)
☆ 가로기와 차량기는 국경일 등 경사스러운 날에 축제분위기 조성을 위하여 게양하고 있으며, 현충일에는 국립현충원 등 추모행사장 주변 도로나 추모행사용 차량에만 제한하여 게양할 수 있습니다.
《 가정에서, 태극기(弔旗)는 어디에 달까요? 》
☆ 단독주택 : 밖에서 바라보아 대문의 중앙이나 왼쪽에 게양합니다.
☆ 공동주택 : 밖에서 바라보아 각 세대의 난간 중앙이나 왼쪽에 게양합니다. ※ 주택구조상 부득이 한 경우 게양위치를 조정할 수 있습니다.
참! 10:00에 묵념 합시다.
♣ 현충일 노래 - 조지훈 詩 - 임원식 曲 ♣ 겨레와 나라 위해 목숨을 바치니 그 정성 영원히 조국을 지키네 조국의 산하여 용사를 잠재우소서 충혼은 영원히 겨레 가슴에 임들은 불멸하는 민족혼의 상징 날이 갈수록 아아 그 충성 새로워라
겨레와 나라 위해 목숨을 바치니 그 정성 영원히 조국을 지키네 조국의 산하여 용사를 잠재우소서 충혼은 영원히 겨레 가슴에 임들은 불멸하는 민족혼의 상징 날이 갈수록 아아 그 충성 새로워라
불량게시글신고
·댓글